본문 바로가기

이전 산문58

시쓰기의 쉬움, 산문쓰기의 어려움 시는 쓰기 어렵다고들 한다. 내 생각에 시를 쓰기 어려운 것은 쓰려는 이의 마음이 혼탁하기 때문이다. 그 언어가 혼미하기 때문이다. 시란 실상인즉, 이러한 혼탁과 혼미를 걷어내는 훈련만 한다면, 누구라도 쓸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걸출하고 빼어난 시, 후대에 길이 남을 그런 시를 쓰기란 아홉 마리의 소에서 붉은 색 털오라기 하나를 찾아내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일 터이다. 그런데 왜 내가 그런 시를 써야 하나. 시를 쓰려는 마음에 여록의 붓을 들었으면, 그런 수준 정도의 시는 써내야만 하는가. 그 정도를 성취할 자신이 아니면 시쓰기는 포기해야 하는가. 사실 그런 종류의 야심과 시쓰기를 가능케 하는 근원적인 마음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우리가 조촐한 마음의 지복으로 복귀할 수 있다면, 바로 그 조촐한 자리.. 2010. 1. 25.
흐느껴 우는 기러기 해가 뜨니 비로소 아침이네 문제는 무엇인가. 나는 청와장靑瓦匠 이 아닌가, 하는 마음에 “청와장”이란 말에 놀란 것이 언제던가. 마음 구석에 남았는 “청와장”을 버리고 글 보시를 하며 살까. 글 보시를 하며 살까. 그러나 어늬 글을 어늬에게? 이왕지사 붓을 들었으면, 사람 살리는 글을 써야 하리. 풀을 살리는 글을 써야 하리. 그러나 글이란 괴론 맘, 불평不平한 맘을 담아내는 한적한 방의 노래이기도 하느니. “흐느껴 우는 기러기 해가 뜨니 비로소 아침이네”라고 했으니, 이즈음의 삶은 꼭 이렇게 요술스럽다고나 할까. 마법스럽다고나 할까. 새들이 잠들어 있는 새벽녘에 일어나 글월을 짓거나 가만 적경寂境에 들어보는 날은 계획보단 적어서, 동중서의 세 가지 여가(겨울, 밤, 흐리고 비오는 때)를 즐기지 못하는 불행의 나날이랄까. 깬 새들.. 2010. 1. 25.
Avatar Part of an email from my friend “I saw avatar yesterday. I have always admired James Cameron for three reasons. Firstly, he is an inventor. He invented stories like no other. Alien 2 and Terminator all delivered stories never told before. Secondly, he is a great story teller. When he tells a story, even the most boring story becomes innovative. Look at Titanic. It has the most conventional love .. 2010. 1. 22.
배운 꼴통 이 사람도 이곳에서 논문이라는 것을 쓰면서, 논문 맨 앞에 부치는 논문초록이라고 하는 것을 써보았다. Abstract 라 불리는 이것은, 내가 논문을 제출한 대학에서는 350자 이하로 쓰게 되어 있는데, A4 한 페이지가 찰까 말까 한 짧은 글이다. 짧은 글은 금방 쓰지만, 긴 글은 어렵게 쓰리라, 짧은 글에는 적은 수고가, 긴 글에는 많은 수고가 들어가리라는 세간의 가정과는 달리, 써본 이는 알겠지만, 정말 쓰기 힘든 것, 노고를 필요로 하는 것은, 긴 것보다는 짧은 쪽이다. 지도교수님께서 얼마나 이 Abstract를 까다롭게 생각하시는지, 이 350자를 몇 번 고쳐 썼는지 모른다. 수백 번이라면 거짓말이고, 수십 번이라면 참말이겠으나, 수십 번이라는 구절에, 이 사람은 만족을 못하겠다, 그만큼 고생을.. 2010. 1. 21.
쉽게 쓴다는 것에 대하여 흔히 듣는 말 중 하나는 내가 글을 쉽게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글을 쉽게 쓴다는 것은 그런데 과연 무엇인가. 이것과 관련하여 몇 가지 내 생각을 적어보고자 한다. 그 중 첫째는 요즘 세태와 관련된 것이다. 인터넷 세상이 열린 이후로 사람들이 소위 문자라고 하는 것을 대하는 태도에 일대 격변이 일어난 느낌이다. 인터넷이라는 정보호환 영역에서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정신 형식은 오직 글뿐이다. 작금의 인터넷 공간에서는 다른 보조적 표현수단이 충분히 동원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표현자가 게시물로서 올려놓은 몇 가지 문장들, 글의 조각을 가지고 그가 뜻하고자 하는 바, 곧 그의 정신과 정서 일체를 해석해야 하는 절박한 조건에 놓여 있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게 “다급함에도” 인터넷에 글 - 이것이 한 단어든, 수십.. 2010. 1. 6.
전우익 선생님 11월 19일, 어제는 전우익 선생님 기일이었다. 한때의 유명작가, 농부-작가, 지금은 작고하신 이 분을 기억하여, 그 사모하는 마음을 다시금 마음에 새겼던 이는 아마도 많지 않을 터이다. 하워드 진 같은 미국인에게 소로우가 마음속으로 모시는 분으로 남아 있는 것과 똑같이, 한국인에게는 먼저 살았던 어떤 한국인이 그 마음에 모시는 분으로 남아 있어야 하리라. 하워드 진이 해월 최시형 선생을 마음속에 모시며 산다고 말하면 우리가 다소간 의아할 것처럼, 한국인 중 뉘 있어 소로우를 마음에 모시고 산다고 말한다면, 이 말을 듣는 미국인은 좀 의아해할 것이다. 존경하는 이, 마음속에 모시는 이는, 생존해있으면 더욱 좋고, 아니면 작고한 지 얼마 되지 않는, 다시 말해 내가 한 “현대적 경험”을 어느 정도 함께 .. 2010. 1. 6.